UI/UX
-
[에이블런 4주차] UX/UI: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서비스 기획-7서비스 기획/Next Gen 2024. 6. 13. 22:27
서비스 기획에 있어서 사용자 페르소나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타겟유저를 정확히 짚어내는 것이 리스크를 최소화하며 유의미한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오늘 시간에는 이러한 페르소나 설정법 및 사용자 조사 분석 방법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사용자 조사 분석어피니티 다이어그램방대한 데이터 사이에서 의미 있는 규칙을 발견하는 그룹핑 기법. 리서치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류하고 정리하는데 사용됨 ▶︎ 공통의 이슈, 주제, 고객의 문제와 니즈를 한눈에 파악 할 수 있다. 페르소나인터뷰, 설문 등 사용자 연구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상 사용자 층을 대표하는 가상의 인물 ▶︎ 사용자 니즈에 맞는 최적화된 사용자 경험 구축1. 사용자 조사 ▶︎ 2. 조사 결과 분석 ▶︎ 3. 페르소나 개수 설정 ▶︎..
-
[에이블런 3주차] UX/UI: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서비스 기획-4서비스 기획/Next Gen 2024. 6. 5. 15:25
GPT를 이용해 서비스 기획을 할 때 가장 많이 체감되는 것은 리서치를 할때 많은 시간을 절약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데이터가 곧 힘이되는 현재 세상에서 데이터 수집을 편리하게 해주는 GPT는 정말로 유용한 도구인 것 같다. 그러니 겁내지말고 흐름에 탑승해서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게 세상의 흐름에 맞춰 살아가는 방법인거 같다. 오늘 강의는 실체로 리서치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론과 GPT를 이용한 접근법을 소개해주셨다.리서치 방법론디자인 리서치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와 시장환경 등의 여러가지 측면을 조사하고 연구하는 것 ▶︎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기 위함리서치를 하는 이유?새로운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 및 제작을 위한 방향성과 당위성 찾기빠르게 변화하는 시장과 기술 환..
-
[에이블런 3주차] UX/UI: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서비스 기획-3서비스 기획/Next Gen 2024. 6. 4. 16:16
서비스 UI/UX 기획을 위해서도 GPT가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UI/UX에서 가장 많으면 많을 수록 좋은게 데이터(Raw Data)수집인데 여간 까다로운게 아니다. 하지만 GPT에게 시장 조사 및 통계자료를 쉽게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앞으로 시장 조사를 위해서 GPT를 많이 사용하게 될 것 같다. 이번 강의에서는 GPT를 어떻게하면 더 잘 쓸 수 있을지 확인해보는 시간이였다.ChatGPT 이해하기생성형 AI의 실제 사례들: 권한슬 감독, AI 단편영화 제이나(J-NA): 제주뉴스 AI 아나운서: ChatGPT가 작성한 콘티를 활용한 광고 (링크): 이미지 생성형 AI인 DALLE2를 이용한 케첩 이미지 생성구단 리 : 아쿠타가와상 수상, AI가 쓴 문장 5% 수록생..
-
[에이블런 3주차] UX/UI: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서비스 기획-2서비스 기획/Next Gen 2024. 6. 3. 17:32
지난 UI/UX 강의에 이어서 오늘도 관련 개념 및 방법론을 설명해주셨다. UI/UX를 하시는 분들은 기본적으로 발표자료도 너무 깔끔하고 전달력있게 잘 만드시는 것 같다. 강의를 들으면서 소개한 개념 및 느낀점들을 몇가지 남겨본다.사용자 중심 디자인UCD (User Centered Design)제품의 계획, 디자인 및 개발을 통해 사용자에 초점을 맞춘 디자인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이런 모든 디자인 과정에 사용자를 참여 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저번 수업에서 배웠던 Lean 방법론에서 사용자의 피드백을 즉각 반응하는 것 또한 UCD의 일부이다.UCD vs UXUCD: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경험을 만들기 위해 적용되는 프로세스, 전략 ▶︎ 과정UX: 사용자 경험 디자인은 사용자가 사용한 제품, 서비스에 대한..
-
[에이블런 2주차] UX/UI: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서비스 기획-1서비스 기획/Next Gen 2024. 5. 30. 14:55
서비스 기획이란?사용자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목표설정, 아이디어 제시 등 전반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설계하는 과정을 일컫는다. 서비스 기획자가 갖춰야할 역량비지니스와 프로젝트 전반에 대한 이해와 문제 해결, 기획 문서 작성 능력UX/UI 모든 범위의 이해와 전문성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학습과 자기개발각 분야의 전문인력(기획, 디자이, 개발자 등)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강사님은 실무에서 가장 중요한건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라고 하며 강조하셨다. 서비스 기획자가 되면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일을 하다보니 그들의 언어를 아는게 중요하기 때문에 얕고 넓게 각 분야를 이해하는 자세를 가지는 것을 강조하셨다. 각 분야의 전문인력과 관련된 업무의 큰 테두리를 이해하는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함.UX/UI..